페이지

글 목록

2023년 1월 7일 토요일

[요약] 권재일, 김현권, 남승호, <언어의 이해> 3장: 문자의 세계

 

  1. 문자의 발생과 발전
1) 문자의 개념
문자는 표의문자와 표음문자로 나뉜다.
표음문자는 소리의 단위가 음절인지 음소인지에 따라 음절문자(소리의 단위가 음절), 음소문자(e.g., 일본어)로 나뉜다.

2) 문자의 발생

3) 상형문자
상형: 지시물의 모습을 본떠 글자를 만드는 것. 구체적인 물체를 지시하는 경우 쉽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어렵다.
지사: 추상적인 대상을 지시하기 위한 방법. e.g., 上, 下
회의: 둘 이상의 문자를 합성하는 것.
가차: 추상적 개념을 표시할 때 동음이어를 갖다 쓰는 것.
형성: 가차에 뜻을 암시하는 기호를 첨부하는 것.

4) 음절문자
일본어 등.

5) 음소문자
자음 중심의 음소문자: 아랍 문자, 페니키아 문자 등.
자음-모음 문자: 자음뿐만 아니라 모음도 같은 자격으로 표기하는 문자. 고대 그리스에서 페니키아 문자를 차용하면서, 모음도 중요한 그리스어에 맞춰 바꿈.


  1. 문자 이야기
1) 문자 표기 방식
같은 소리를 표기하더라도 단어 첫머리, 가운데, 끝머리에 따라 자형이 서로 다른 문자도 있다.
문자의 쓰기 방향이 문자마다 다르다. 가로 방향/세로 방향 X 좌→우/우→좌

2) 문자의 기록과 인쇄
필기구와 재료의 발달 과정은 문자의 발달 과정과 직결되어 있다.
종이의 발명
인쇄술
컴퓨터

3) 문자 해독
미해독 문자를 해독해 낼 때 이를 검증할 과학적 방법론을 갖출 필요가 있다.


  1. 훈민정음
1) 훈민정음의 위상
2) 창제 배경
한국어는 일본어와 달리 음절 자체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음절 구조가 복잡해서 음절 문자가 만들어지기 힘들었다.

3) 창제 원리
음소 문자.
초성의 경우, 아, 설, 순, 치, 후 다섯 계열 소리 중에서 기본자 다섯 글자를 만들었다. (ㄱ, ㄴ, ㅁ, ㅅ, ㅇ) 그 모양은 그 음을 낼 때 발음기관을 상형해 만들었다.
기본음과 동일 계열의 음은 각 기본자에 한 획씩 더 붙여 만들었다. (ㄱ-ㅋ 등)

4) 창제 의의
자질 문자: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거나 같은 글자를 반복함으로써 음소 자질을 체계적으로 나타낸다. e.g., ㄷ-ㄸ-ㅌ
발음 기관을 상형해 인류 보편적인 문자로 창제했다.
자음과 모음이 처음부터 따로 만들어졌다.
초성-중성-종성의 음절 3분법을 창안했다. (기존에는 중성과 종성을 한 단위로 봄)
모음조화 현상을 이해하고 문자에 반영했다. e.g., 'ㅘ', 'ㅝ'처럼 모음글자끼리 어울릴 때 같은 부류까리 어울리도록 만들었다.
중세 한국어 음운의 운율 실현을 표기에 반영했다.
자음과 모음이 한눈에 구별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