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23년 1월 10일 화요일

[요약] 권재일, 김현권, 남승호, <언어의 이해> 4장: 자연의 소리와 언어의 소리

 

  1. 의사소통
  2. 소리와 음성
진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상황은 화자(발신자)와 청자(수신자)가 있고, 부호(음성)와 부호가 담고 있는 메시지가 있고, 의사소통하려는 의도와 이 의사소통의 상황이 있는 경우이다.

  1. 언어는 왜 음성을 사용하는가?
왜 음성을 이용한 의사소통 수단이 다른 수단보다 선호되는가?
  • 신체적 노력이 적게 든다.
  • 시공간의 제약이 적다. (어두운 밤 등)
  • 짧은 시간에 많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 음성은 선적 연쇄를 형성하므로 분절이 쉽고 배열이 매우 간결하다. 분절성이 있어 자유롭게 결합하여 수많은 의미 있는 단어나 단어 연쇄를 만들 수 있다. (비교: 신체적 움직임이나 시각적 부호는 분절이 어렵고 배열이 복잡하다)

  1. 동물의 소리와 음성 발달
음성에 대한 지각과 이해는 언어 습득보다 먼저 이루어진다.
동물과 달리 인간의 언어 음성이 체계적으로 발달하는 이유
  • 인간의 성대 형태가 다른 동물에 비해 길고 유연하다.
  • 음성 기관을 통제하는 신경계가 훨씬 발달되어 있어, 호흡, 발성, 조음에 이르는 근육운동의 연쇄 과정을 아주 빨리 통제하여 다양한 음성을 낼 수 있다.
동물에게 인간의 언어를 가르칠 수 있는가?
  • 음성언어가 아닌 기호나 숫자 같은 상징을 이용하는 제한된 영역에서만 가능하다.

  1. 언어 음성의 특징
자연적 소리와 인간의 말소리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인간의 음성은 의미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다음 네 가지 특징이 생겨난다.
  • 분절성
  • 대립성: 언어에 사용되는 음성은 서로 구별되고 대립하며, 그런 한에서 의미 전달에 기여한다. e.g., '봄'과 '밤'은 /ㅗ/와 /ㅏ/가 구별되고 대립하기 때문에 의미가 다른 것으로 인지된다.
  • 결합성:음성은 분절되므로 분절된 음성은 서로 결합하여 언어 특유의 음절 구조를 만들고 단어 구성에도 작용한다.
  • 변별성: 언어 음성이 구별되고 대립되는 것은 이 음성을 구성하는 변별성 때문이다.

  1. 언어 음성의 발생 과정
1) 음성 발생 과정
2) 분절음: 자음과 모음
자음: 공기가 입안이나 코안을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면서 구강이나 비강의 어느 부분에서 방해를 받는 음성
모음: 아무런 장애 없이 성대 진동이 수반되어 조음되는 음성
지각적인 측면에서 모음이 자음보다 훨씬 귀에 잘 들리고 강세, 높이, 길이 등의 운율적 성질을 지닌다.

자음은 기의 유무, 성의 유무, 조음 위치, 조음 방식을 통해 명명된다. e.g., [ph]: 유기 무성 양순 파열음
모음은 입안의 벌어짐 정도(혀가 입천장에 가까이 접근하는지), 혀 정점의 위치(혀의 가장 높이 올라간 부분이 혀의 앞쪽인지 뒤쪽인지), 입술의 원순성을 통해 명명된다.

3) 비분절음: 운율
운율은 분할음이 둘 이상 결합될 때 이와 동시적으로 실현되는 음성적 성질로, 소리의 높이(pitch), 세기(stress), 길이(length)를 가리킨다.
운율 요소들은 의사 전달에 유의미한 기능을 가질 수도 있는데, 분할음과 마찬가지로 대립적인 패턴을 보이기 때문이다.
  • 성조 언어: 높이의 다양한 패턴 이용
  • 모음 장단이 뜻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언어. e.g., 영어, 그리스어, 라틴어.
구나 문장의 층위에서도 운율이 의사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e.g., 발화 중간의 휴지나 악센트로 문법 경계 표시, 억양에 따라 발화 종결법 구별

  1. 음소와 변별 자질
우리는 음성의 물리적 특성을 그대로 지각하지 못한다. e.g., '부부'에서 두 개의 /ㅂ/의 음가도 다르고 두 개의 /ㅜ/의 음가도 다르다.
음성이 지각되는 것은 추상적이고 심리적인 성질을 지닌다. e.g., 한국어에서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인지되지 않는 것은 그것이 의미 구별에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음소: 음성 가운데 대립 체계를 구성하는 항정적이고 추상적인 음성형
변이음: 음소가 환경에 따라 다르게 실현된 음성
음운론(phonology): 변별적 기능의 관점에서 음성을 연구하는 분야

변별 자질의 유무에 따른 대립은 양분 체계로 표시되는데, 이 자질을 가지고 있는 유표항은 [+자질]로, 무표항은 [-자질]로 표기한다.


  1. 음운 결합과 음운 규칙
언어의 음성 구조가 허용하는 음성 연쇄가 지니는 성질에 따라 결합상의 제약이 있다.
이러한 규칙이나 제약은 보편적인 것도 있고 특수한 것도 있다.
e.g., 한국어 /ㅂ, ㄷ, ㄱ/이 비음 앞에서 /ㅁ, ㄴ, ㅇ/로 바뀌는 비음화 현상.
기저형: 우리가 추상적으로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 음성형
표면형: 일정한 음운 규칙에 따라 다양하게 실현된 음성형

  1. 문자와 음성, 표기의 관계
/음소 표기/
[음성 표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