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22년 7월 5일 화요일

[요약] Nanay, B. (2012),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Perky Experiments: Reply to Hopkins"

  Nanay, B. (2012),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Perky Experiments: Reply to Hopkins", Analysis.

1. Introduction

Perky 실험에 대한 표준적 해석: 지각과 심상은 현상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Hopkins: 스크린에 투영된 이미지가 그림이라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피험자는 non-committal pictorial awareness와 심상을 착각한 것이다.

 

저자: Hopkins의 논증은 그림 지각에 대한 특정 관점에 의존한다. 저자가 그림 지각에 대한 주류 견해라고 생각하는 입장에서는 이 논증이 통하지 않는다. 심지어 Hopkins 본인의 이론을 받아들이더라도, 논증이 성공하지 못한다고 볼 이유들이 있다.

 

2. Picture Perception

우리가 그림에 있는 무언가를 볼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우리는 두 가지 다른 것들을 표상한다 - 물감 자국, 묘사된 대상.

우리가 물감 자국을 본다고 하는 것은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묘사된 대상을 표상하는가? 세 가지 가능성이 있다.

 

(i) 지각한다

(ii) 상상한다[심상을 갖는다)

(iii) 지각도 아니고 상상도 아닌 방식으로 aware한다. Hopkins의 용어로는 pictorial awareness

 

(ii)는 배제. Hopkins, 저자도 별로 유망하지 않다고 봄.

 

(i)이 저자가 보기에 철학과 심리학에서 그림 지각에 대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관점이다. 우리는 그림의 대상을 글자 그대로 본다.

 

(i)에 대해 Hopkins는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

첫째 전략: 그림 awareness는 본 것과 동일시할 수 없다. 왜냐하면 지각적 의식과 다르게, 그림 awareness는 그 대상의 실재에 대해 non-committal하기 때문이다.

둘째 전략: 논문의 후반에서 Hopkins (i)을 설득력 있는 선택지로 보고 (i)의 지지자들조차도 그의 논증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두 가지 전략은 똑같은 기본적인 점에 기반을 두고 있다: 묘사된 대상에 대한 우리 awareness는 지각보다는 심상과 더 유사하다. 왜냐하면 그림 awareness는 심상과 같이, 그리고 지각과는 달리, non-committal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committal하다는 것은 대상들이 실제로 어떠한지에 대한 주장을 한다는 것이다.

 

 

 

  1. Committal versus non-committal

Hopkins의 두 전략 모두의 문제는 지각이 committal하다고 할지라도, 현재 맥락에서 왜 그게 중요한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 두 가지이다.

 

(a) 그림 awareness가 지각이 아니라는 Hopkins의 말을 받아들인다고 해도, 여전히 피험자의 non-committal 그림 경험은 묘사된 대상에 대한 진정한 committal 지각 경험과 유사하다. 이것은 그림 경험이 항상 묘사된 대상을 마주할 때의 경험과 현상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이 아니다.

 

Hopkins 의 말대로, 많은 그림에서 묘사된 대상에 대한 awareness는 대상에 대한 지각적 경험과 현상적으로 아주 유사하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많은 사례들에서, Perky가 사용한 사례들에서는 그런 현상적 유사성이 있다

 

피험자들이 non-committal 그림 경험을 심상과 혼동한 것은 non-committal pictorial 경험이 심상과 현상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지각은 non-committal 그림 경험과 유사하다. non-committal 그림 경험은 심상과 현상적으로[1] 유사하다. 그렇다면, 심상과 지각도 현상적으로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현상적 유사성이 항상 transitive한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이렇게 추론하지 말아야 할 이유를 찾기는 어렵다.

 

(b) 더 현저한 문제. Hopkins Perky Segal이 어떤 종류의 그림을 이용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논의하지 않는다. 모든 경우에는 아닌 것 같지만, Segal은 분명 몇몇 경우에 사진을 이용했다.

Hopkins는 다른 논문에서, 사진에 있는 대상을 보는 경험이 사실적인(factive) 경험이라고 주장한다. 사실적이라고 해서 committal하다는 점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true supposition은 사실적이지만 committal하지는 않다. 그러나 사실적이지만 committal하지 않은 심적 상태 유형들은 우연에 의해 factive한 것이다. 그것들의 사실성은 그것들이 무엇인지와 별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진 안의 물체를 보는 경험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Hopkins 자신이 인정하듯, 전통적인 사진은 사실적인 seeing-in을 산출하기 위해 설게된 것이다. 게다가, 실제로 그런 것을 산출한다. 그러나 Hopkins가 어떻게 그런 경험이 사실적일뿐만 아니라 committal하기까지 하다는 점을 부정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Hopkins는 실험에 쓰인 이미지들이 committal하지 않다고 했기 때문에 하는 이야기.]

그러나 그렇다면, Perky 실험이 사진을 이용해 수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림 awareness committal할 수 있다.[Hopkins는 그림 awareness non-committal이라고 봤음]

사진을 사용했기 때문에, 실험에서 심상과 혼동한 pictorial awareness committal하다. 따라서 Hopkins는 심상-지각 혼동을 부정하는 데 실패했다.



[1]원문은 perceptually인데 실수로 추정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