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22년 7월 5일 화요일

[요약] Hopkins, R. (2013), "Perky, Phenomenal Similarity and Photographs: Reply to Nanay"

 Hopkins, R. (2013), "Perky, Phenomenal Similarity and Photographs: Reply to Nanay", Analysis.


Nanay: 모든 그림 awareness non-committal하더라도, 대상에 대한 몇몇 그림 awareness는 그 대상들을 지각하는 것과 유사하다. Perky의 실험은 몇몇 그림 awareness가 심상과 혼동될 수 있고 따라서 유사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Hopkins: A B가 한 가지 측면에서 유사하고, B C가 다른 측면에서 유사하다고 해서, A C가 임의의 측면에서 유사하다고 볼 이유는 없다. 심상은 그림 awareness non-committal하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이런 측면에서는, 그림 awareness와 지각이 유사하지 않다.

 

Nanay의 다른 주장은 인신공격(ad hominem)스럽다. 저자가 사진에 의해 묘사된 장면에 대한 그림 awareness가 사실적이라고 한 것은 맞다. 그런데 Nanay는 저자가 모든 그림 awareness non-committal하다고 주장했다면서 사진이 사실적이라고 한 것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Nanay는 사실적 non-committal 심적 상태(참인 supposition) 같은 것이 있다고 인정하지만, 그 경우 사실성은 우연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저자가 사진의 사실성은 사진 시스템의 설계의 결과이므로, 이런 형태의 그림 awareness committal하다는 점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런데 실험에 쓰인 몇몇 이미지는 사진이었으므로, Nanay는 그 이미지들이 committal하다고 주장한다.

 

Hopkins: 한 체계가 사실적 상태를 만든다는 사실과, 우연에 의해 그렇게 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그 상태들이 committal하다는 점을 함축한다는 점이 의심스럽다. 맹시 환자들은 사실적인 지각을 하고 그것은 사실적 상태를 산출하도록 설계된/진화된 체계의 결과지만, 추측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factive하지만 committal하지 않다].

 

이게 아니더라도, Nanay의 사진에 대한 의존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사진을 보여준 것은 Perky가 이나리 Segal이었다. Segal의 실험은 Perky의 발견을 입증하지 못했다. Perky supraliminal 지각을 심상과 착각했다고 주장했지만, Segal Subliminally 지각된 자극의 요소들을 시험했다. subliminal 지각은 정의상 의식적이지 않기 때문에, Segal의 결론은 의식적 상태들 간의 착각 혹은 유사성에 대해 아무 함축이 없다

 

둘째, Segal이 사진을 이용했다는 점은, Segal 의 피험자들의 대상에 대한 awareness committal했다는 점을 보여주기에 충분하지 않다. committal한 것은 사진으로서 보여진 사진에 대한 awareness이지, 실제로 사진에 의해 sustained awareness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진을 그림으로 착각했다면, 그 사진의 대상에 대한 awareness는 다른 그림에 대한 awareness보다 더 committal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Segal의 피험자들이 자극을 사진으로서 봤냐는 것인데, 이는 답하기 어렵다. Segal 본인은 그 이미지들이 subliminally하게만 지각되었다고 보았고, 따라서 사진으로도 아니면 다른 것으로도 아니었다고 말했다

 

더 넓게, Nanay는 저자의 설명이 그림 지각에 대한 특정 관점에 의존하고 있고, 주류 견해는 그게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 견해가 주류이든 아니든 저자는 다른 논문에서 그 견해에 대한 반박을 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