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gory, D. (2016), "Imagination and Mental Imagery", in The Routledge Handbook of Philosophy of Imagination.
※ 번역 관련
mental imagery/mental imag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의 “Mental Imagery” 항목에서는 두 개념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하며 두 가지 이유를 들고 있다. 첫째, ‘mental image’는 주로 시각에 한정해 쓰이는 반면, ‘mental imagery’는 반드시 시각에 한정할 필요가 없고,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둘째, aphantasia라는 증상을 앓는 사람은 다른 감각적 상상은 가능하나 시각적 상상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시각 외의 mental imagery는 만들 수 있으나 mental image는 만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우리말로 두 용어를 구분하기 어렵고, 이 논문에서는 시각적인 것을 주로 다루며 다른 감각에 대해서는 시각과 마찬가지일 거라고 이야기하는 정도에 그치기 때문에(실제로 그런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지만) 두 용어를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모두 ‘심적 이미지’로 번역했다. ‘심상’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겠지만, 일상적인 사용 빈도가 낮아서 의미가 바로바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a mental image that shows things as looking a certain way: “대상들이 특정 방식으로 보이도록(as looking) 보여주는(shows) 심적 이미지”.
e.g., 갈색 고양이에 대한 심적 이미지는 고양이가 갈색이고 있고, 부드러운 털이 있고, 사람의 팔뚝만한 크기이고, ... 등등의 방식으로 보이도록(as looking), 상상하고 있는 주체에게 보여준다(shows).
1. Introduction
ㅇ 이미지적 상상과 비이미지적 상상의 구분
이미지적(imagistic) 상상: 우리 상상 활동은 감각적 심적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상상의 내용은 심적 이미지에서 보여진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심적 이미지가 상상의 내용을 결정하는 데 역할을 하는 경우, 그 상상은 이미지적이다.
e.g., 내가 나무 테이블을 시각화함으로써 나무 테이블을 상상한다고 해보자. 이 상상의 내용은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내가 만든 시각적 이미지에서 유래한다. 따라서 나무 테이블에 대한 내 상상은 이미지적이다.
- 심적 이미지가 상상의 내용을 완전히 결정하는 경우도 있고, 부분적으로만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 - 2절
비이미지적 상상: 상상의 내용이 심적 이미지의 내용에서 유래하지 않는 경우. 즉, 심적 이미지를 동반하지 않는 상상을 말한다.
- 비이미지적 상상이 존재하는지를 두고 논쟁이 있다. - 6-8절
※ 심적 이미지가 저차(low-level) 내용만 포함하는가, 아니면 고차(high-level) 내용까지 포함하는가?
- 저차 내용만 포함한다면: 고양이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는 색, 음영, 모양, 크기, 움직임, 공간적 관계만 보여준다.
- 고차 내용까지 포함한다면: 고양이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는 저차 내용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고양이> 개념과 같은 고차 내용도 포함한다. “고양이를 <고양이> 개념에 속하는 것으로서 보여준다.”
- 이 질문은 감각적 경험의 내용에 대한 질문과 유사하다. -우리 시각 경험은 저차 내용만 포함하는가, 고차 내용도 포함하는가?, “perception”에 무엇까지 포함되는가?
- 이 유사성은 심적 이미지의 내용이 경험의 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여기서 이 논쟁을 다루지는 않겠다. 편의상 고양이에 대한 심적 이미지를 그냥 “고양이에 대한 것”이라고 부르겠다.
2. Varieties of Imagistic Imaginings
ㅇ 이미지적인 상상의 세 가지 종류
(1) 순수하게(purely) 이미지적 상상: 이 상상의 내용은 심적 이미지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
e.g., 고양이에 대한 시각적 심적 이미지, 트럼본 소리에 대한 청각적 심적 이미지.
(2) 가정(supposition)이 영향을 준 이미지적 상상: 이 상상의 내용은 심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가정에 의해 결정된다. 즉, 시각적 심적 이미지는 상상의 일부 내용은 결정하지만 모든 내용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e.g., (1)에서 상상한 고양이와 똑같이 보이는 시각적 심적 이미지를 형성하면서, 그 고양이의 주인이 프랑스에 갔다는 가정을 덧붙이는 경우.
(3) 가정이 영향을 주었고, 심적 이미지의 세부사항이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이미지적 상상: 이 상상의 내용은 시각적 심적 이미지와 다른 내용을 가진다.
e.g., 정칠각형 상상: 정칠각형을 그대로 보여주는 시각적 심적 이미지를 만들어내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정칠각형의 변과 각도의 정확한 배열을 시각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시각적 심적 이미지를 적절한 가정과 결합하여 정칠각형을 상상할 수 있다. 즉, 정육각형의 시각적 심적 이미지를 만들고, 그 심적 이미지와 비슷하지만 여섯이 아니라 일곱 변을 갖는 도형이 있다는 가정을 덧붙여 상상하는 것이다.
- (2)와는 달리, (3)에서는 시각화된 도형의 속성(여섯 변을 가짐)은 칠각형에 대한 상상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한 상상 작업은 최종적으로 상상된 것(칠각형)에 속하는 속성들에서 여섯 변을 가짐이라는 속성을 배제한 것이다.
위의 세 가지는 이미지적 상상의 내용을 결정하는 데 심적 이미지가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식들을 보여준다. 특히 뒤의 두 가지는 가정 같은 요소들이 상상의 내용에 영향을 주는 경우인데, 어떻게 이런 요소들이 심적 이미지와 상호작용하여 상상의 내용을 산출하는지 보여준다.
3. Mental Images and Experiences
ㅇ 우리가 어떤 대상을 시각화하여 상상할 때, 우리는 그 대상이 누군가에 의해 목격된(witnessed) 것처럼 상상하는가?
[= 우리가 어떤 대상을 시각화하여 상상할 때, 마치 감각 경험을 하는 것처럼 상상하는가? = 어떤 대상에 대해 상상하며 만든 시각적 이미지는 감각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는 sensation과 유사한가?]
e.g., 고양이를 시각화함으로써 고양이를 상상하는 사람은, 그 자신이 그 고양이를 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따라서 그 사람은 누군가에 의해 목격된 것처럼 그 고양이를 상상한 것이다.
요점을 잘 드러내기 위해,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는 의미에서 심적 이미지가 "주관적"이라고 해보자.
(A) 대상을 특정 방식으로 보이도록/들리도록/냄새나도록/맛이 나도록 보여주는 심적 이미지를 생각해보자. 그 이미지는 대상을 감각적 에피소드 내에서 그런 방식으로 보이도록/들리도록/냄새나도록/맛이 나도록 보여주는 것이다.
“즉, 심적 이미지가 감각적 에피소드와 같은 방식으로 나타날 때 주관적이라고 하자“
이제 누군가가 시각적 심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고양이를 상상한다고 해보자. (A)가 주어지면, 그 시각적 이미지는 대상을 감각적 에피소드 내에서 특정 방식으로 보이도록 보여준다.
그러나 이 점은 그 상상이 누군가에게 목격된 것 같은[감각적으로 경험된 것 같은] 상상이라는 점을 즉각적으로 함축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상상의 전체 내용은 추가적인 가정 같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상하는 사람은 시각적 심적 이미지를 만들고, 가정을 덧붙여 그 시각적 이미지와 동일하지만 관찰자가 없는 상황에 있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심적 이미지는 감각적 에피소드 내에 있지만, 상상 전체는 감각적이지 않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순수하게 이미지적인 상상의 경우는 어떠한가? 누군가가 순수하게 이미지적인 상상을 한다고 하자. 그러면 (A)에 의해 그 시각적 이미지는 대상을 시각적 에피소드 내에 있는 특정 방식으로 보이도록 보여준다. 따라서 그 이미지는 그 고양이를 누군가에게 목격된 것으로서 그 고양이를 보여준다. 이 경우 상상은 순수하게 이미지적이므로, 상상의 내용은 그 사람이 상상로 만들어 낸 시각적 심적 이미지의 내용에서 물려받은 것이다. 따라서 그 사람은 고양이를 누군가에게 목격된 것처럼[감각적으로 경험된 것처럼] 상상한 것이다. 더 일반적으로 말해, (A)가 참이면 다음과 같은 것을 보증한다:
(B) F에 대한 모든 순수하게 이미지적인 상상은, F를 누군가에 의해 목격된 것으로서 상상하는 것이다.
(B)를 받아들여야 하는가? [저자의 답: 거부해야 한다, 5절 뒷부분)
4. Purely Imagistic Imaginings and Imagined Experiences
ㅇ 심적 이미지가 대상을 누군가에게 목격된 것처럼 보여주지 않는다는 입장
(A)를 과도하게 일반화하지 말아야 한다. 감각적 심적 이미지는 표상의 한 종류에 불과하다. 그리고 다른 종류의 표상이 대상을 특정 관찰자에게 목격된 것처럼 보여주지 않을 수 있는 것처럼, 심적 이미지도 마찬가지이다.
- Williams: (A)에서 (B)를 도출할 수 없다. [즉, 특정 방식으로 보이는 것으로 보여준다고 해서, 특정 관찰자에 의해 목격된 것으로서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지각자(perceiver)로서 나는 내가 시각화하는 세계 안에 반드시 있을 필요가 없다"(B 거부).
e.g., 그림은 대상을 특정 방식으로 보이게 보여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림은 특정 관찰자에게 목격된 것으로 보이는대로 그려진 것이 아니다.
e.g., 영화관에서 영화 속 대상들은 우리에게 특정 관점에서 보여진다. 그런데 그 관점은 우리 관점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특정 누구의 관점도 아니다.
위의 두 사례는 대상이 특정 관점에서 보이지만, 특정 누군가에게 목격된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 사례이다.
ㅇ 심적 이미지가 대상을 누군가에게 목격된 것처럼 보여준다는 입장
Martin: 이미지적 상상에서 관점은 상상된 장면의 일부이다. 시각화[하여 상상]하기는 실제 시각적 경험과 마찬가지로, 대상을 자기중심적(egocentric) 공간 내에서 방향 지어진 것으로(oriented) 보여준다.
e.g., 우리는 (a) 빨간 빛이 왼쪽에, 초록 빛이 오른쪽에 있다고도, (b) 초록 빛이 왼쪽에, 빨간 빛이 오른쪽에 있다고도 시각화할 수 있다. 두 시각화는 서로 구분된다. 이렇게 (a)와 (b)가 구분되는 이유는 상상된 장면 내에 관점이 있을 때만 설명될 수 있다. 즉, (a)는 상상된 장면 내에서 빨간 빛이 왼쪽에, 초록 빛이 오른쪽에 있는 관점에서 본 것이고, (b)는 그 반대이다.
- 따라서 Martin은 만약 시각화된 장면 내의 관점을 상상해야 한다면, 그 장면 내에서의 경험을 상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시각화 내에 관점이 존재한다는 점은 그 시각적 심적 이미지 내에 보여진 대상들이 그 관점과의 관계에 의해 방향지어져 있다는 사실에서 온다. 따라서 Martin은 시각적 심적 이미지에 의해 명시적으로 보여진 대상들은 그 상상된 상황 내의 한 관점에서 제시된 것으로 상상되며, 따라서 그 관점에서 경험된다고 주장한다.
5.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ㅇ 저자의 입장
저자는 관점이 이미지적으로 상상된 그 광경 내에 있다는 점에서 옳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관점의 존재가, 그 광경이 목격된 것으로서[그 관점에 있는 누군가에게 감각적으로 경험된 것으로서] 상상된다는 점을 요구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말한다.
- 유비적으로. 그림은 대상들을 특정 관점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여준다. 그리고 그 관점은 그려진 대상들과 특정 [공간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의미에서 그 관점은 그려진 세계 내에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 관점이 누군가에 의해 점유된 것이라고[그 관점에서 누군가가 감각 경험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필요는 없다. 그려진 장면은 항상 누군가에 의해 목격된 것으로서[감각적으로 경험된 것으로서] 표상된 것은 아니다.
- 따라서 그림이나 심적 이미지 같은 표상들은 감각적 경험을 통해 보이는 것처럼 보여주지 않으면서도, 특정 관점에서 보이도록 보여줄 수 있다.
- Martin의 두 사례가 구분된다는 점은, 그 사례들이 단지 다른 관점에서 보여진 것이라고 설명하면 된다.
[발제자가 이해한 방식:
- <(a): 특정 관점에서의 방식으로 대상들이 보이게 보여주는 시각적 이미지>: 그 관점에서 그 대상들을 볼 때 객관적으로(?) 정해지는 시각적 외양(appearances). 비감각적 이미지.
- <(b): 시각적 에피소드 내에서의 방식으로/누군가에게 목격된 것으로 대상들을 보여주는 시각적 이미지>: 그 대상들에 대한 주관적인 시각적 느낌(sensation) 혹은 현상적 경험. 감각적 이미지]
ㅇ 순수하게 이미지적인 상상도 <(a): 특정 관점에서 보이도록 보여주는 경우>와, <(b): 누군가에게 목격되는 것으로 보이도록 보여주는 경우>가 구분된다.
사진에 비유해서 생각하기
(a): 우리는 일반적으로 사진이 대상을 한 관점에서 어떻게 보이는지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b): 그런데 같은 사진이 그 관점에 있는 누군가가 대상을 시각적으로 경험한 모습을 보여준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어떤 대상을 순수하게 이미지적으로 상상할 때도, 그 대상이 한 관점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상상할 수도 있고, 그 관점에 있는 누군가에게 시각적으로 어떻게 경험되었는지 상상할 수도 있다.
6. Are Images Essential to the Imagination
ㅇ 비이미지적 상상이 존재하는가?
- 우리 상상의 내용을 고정하는 데 있어 심적 이미지가 항상 역할을 하는가?
- 아니면 이미지적이지 않은 상상이 존재할 수 있는가? 즉, 상상의 내용이, 그 상상에 동반되는 감각적 심적 이미지에 보여진 것에 의해 부분적으로도 결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가? 어떤 심적 이미지도 동반하지 않는 상상이 존재할 수 있는가?
▶ 단순한 이미지 본질주의자(simple imagery essentialists): 상상은 심적 이미지를 반드시 동반한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원리를 지지할 것이다.
(C) 한 심적 에피소드가 상상이다 only if 그 심적 에피소드는 심적 이미지를 포함한다.
심적 이미지와 상상의 관계에 대해, 더 엄격한 입장도 있을 수 있다: F를 상상하는 것은, F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일 뿐이다.
이 입장은 다음과 같은 논제 (D)에 개입한다. (D)는 (C)를 함축하지만, (C)는 (D)를 함축하지 않는다.
(D) 모든 가능한 상상은 (1) 어떤 감각적 심적 이미지를 동반하고, (2) 그것의 내용은 그것이 동반하는 심적 이미지의 내용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
이 입장은 상상은 항상 순수하게 이미지적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2절에서 논의한 사례들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입장은 설득력있지 않다. 2절에서와 같이 가정이 상상의 내용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D)를 조금 완화하면 덜 문제적이다.
(E) 모든 가능한 상상은 (1) 어떤 ["감각적" 이라는 말 빠짐] 심적 이미지를 동반하고, (2) 그것의 내용은 그것이 동반하는 심적 이미지의 내용에 의해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결정된다.
이 입장은 모든 가능한 상상은 이미지적이지만, 반드시 순수하게 이미지적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이 입장은 2절의 모든 사례와 양립 가능하다. 왜냐하면 그 사례들에서 심적 이미지가 상상의 내용을 고정하는 데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7. Challenging Cases
Ryle과 Kind는 단순한 이미지 본질주의에 대한 반례들, 즉 심적 이미지를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상상 사례들을 제시했다.
ㅇ 반례 1 (Ryle): 심적 이미지 없이 곰 흉내내기
어린아이가 곰 흉내를 내는 모습을 생각해보자. 곰처럼 으르렁거리고, 걷고, 이를 갈고, 동굴 속에서 자는 것을 흉내낸다고 해보자.
▷ Ryle: 단순한 이미지 본질주의에 따르면, 그 아이가 마음의 눈으로 털난 발, 눈 덮인 동굴 등을 볼 때만[심적 이미지를 만들 때만] 무언가를 상상하고 있다. 그런데 이 입장은 터무니없다. 아이는 마음 속에 이러한 이미지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곰에 대해 상상하며 곰을 흉내낼 수 있다.
▶ 단순한 이미지 본질주의자: 우리는 곰 흉내를 내는 아이가 온갖 종류의 생생한 상상을 한다고 가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런 상상들은 그 자체로는 아이의 명시적 행동(으르렁거리기, 이 갈기 등)에 의해 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곰 흉내내기에 포함된 신체적 움직임을 심적 이미지 없이 할 수 있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아무런 상상 없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심적 이미지 없이 곰 흉내내기를 하는 경우 아무런 상상도 안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ㅇ 반례 2 (Kind): 심적 이미지에 나타낼 수 없는 술어
Bill Clinton이 락스타가 되고 싶다는 비밀스러운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 Kind: 어떤 이미지도 Clinton이 비밀스러운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명시적으로 그려낼 수 없다. 그럼에도 Clinton이 그런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할 수는 있다. 따라서 이미지 없는 상상이 가능하다.
▶ 단순한 이미지 본질주의자: 이미지에 보여진 것이 상상의 내용을 완전히 결정하지는 못하더라도, 어쨌든 심적 이미지를 동반한다. "Bill Clinton이 락스타가 되고 싶다는 비밀스러운 욕망을 가지고 있다"는 상상은, Clinton이 나오는 심적 이미지를 동반한다. 따라서 이 사례는 모든 상상이 순수하게 이미지적이라는 입장만을 반박할 뿐, 순수하게 이미지적이지 않은 심적 이미지를 항상 동반한다는 입장을 반박하지는 못한다.
한편, 항상 상상에 감각적 심적 이미지가 동반된다면, 그것은 그 심적 이미지들이 그 상상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결정하는 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심적 이미지가 상상의 내용 결정에 역할을 하지 않는다면, 상상이 심적 이미지 없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거부할 이유가 없다.
이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D] 같은) 단순한 이미지 본질주의는 오직(only if) ([E]와 같이) 상상이 항상 이미지적이라고 할 때만 성립한다.
다음 절에서는 이미지적이지 않은 상상이 있는지의 문제를 더 직접적으로 다룬다.
8. More Challenging cases
ㅇ 심적 이미지를 통해 나타내질 수 없는 속성들을 포함하는 부정 주장들(negative claims)
e.g., "비밀스러운 욕망을 가진 자는 아무도 없다".
▷ 이 상상에 동반되는 심적 이미지에 반드시 나타나야 하는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밀스러운 욕망을 결여한 모든 것에 대한 상상에 동반되는 임의의 심적 이미지는, 그 상상의 내용과 매우 간접적인 관련성만 갖는다.
한 사람에 대한 심적 이미지를 만든 다음, 거기에 추가적인 가정을 덧붙여 그 이미지의 사람이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비밀스러운 욕망을 결여한다고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상상이 반드시 이 심적 이미지를 포함해야 할 이유는 없다.
상상이 심적 이미지를 반드시 동반한다고 이미 전제하고 있지 않다면, 왜 비밀스러운 욕망이 완전히 부재한다는 점에 대한 상상이 그런 방식으로 작동해야 하는지 분명치 않다.
ㅇ 상상하기와 가정하기를 구분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아무것도 비밀스러운 욕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아무것도 비밀스러운 욕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상상할 수는 없다.
- 저자: 상상과 가정하기의 구분은 유용하지만, 이 사례에 적용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심적 이미지를 이용해서 나타내질 수 없는 속성들을 포함한 부정 주장들이, 상상이 아닌 가정이라는 명백한 근거는 없다.
요약하자면, 많은 철학자들은 상상이 심적 이미지 없이도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감각적 심적 이미지를 동반하지 않는 상상 사례들을 통해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그런 예들은 많은 경우, 단지 상상이 반드시 “순수하게” 이미지적이어야 한다는 입장만을 논박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사례들은 더 약한 논제인, 상상이 이미지적이어야 한다는 논제도 문제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