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ss, L. (2020), "Is Understanding Reducible?", Inquiry.
- Introduction
이해의 인식적 지위는 인식론과 과학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도덕철학과 미학에서도 점점 많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해의 본성에 대해서는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해에 대한 논의가 재부상한 것은 처음에는 이해와 지식 사이의 차이 때문이었지만(e.g., Zagzebski 2001; Kvanvig 2003; Elgin 2007), 이해를 지식으로 환원하려는 "지식 기반 이론"도 있다(e.g., Kelp 2014, 2015, 2017; Sliwa 2015, 2017; Riaz 2015; 참고 Lawler 2016).
- Knowledge, Understanding & Reductionism
철학에서 이해에 대해 논의할 때 주로 왜-이해(understanding-why)와 대상적 이해(objectual understanding)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서는 주로 왜-이해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가장 초기의 지식 기반 이론은 다음과 같은 논제를 옹호한다.
S는 왜 p인지 이해한다 iff S는 왜 p인지 안다.
이처럼 이해와 지식을 단순히 동일시하는 관점은 이해의 정도(gradability)를 설명할 수 없다. 즉, 이해는 정도차가 있는 개념이어서, 왜 p인지 아는 두 주체가 이해의 정도에서는 차이를 보일 수 있다. Pritchard (2010)에서 나온 예는 다음과 같다.
당신의 집이 잘못된 배선 때문에 불탔다. S는 이 명제를 신빙성 있는 증언을 통해 알게 된 반면, S*는 현장을 조사한 뒤 다른 믿음들에서 연역하고 전기 기술자로서의 경험을 적용했다. 이 경우, S와 S* 모두 집이 잘못된 배선 때문에 불탔다는 점을 알지만, S*가 더 잘 이해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해가 지식을 통해 환원적으로 설명된다는 아이디어를 이용해 더 정교한 지식 기반 이론이 나왔다. 주체는 유관하고 상호연결된 지식의 복합적인 모음에 의거하여 이해의 정도를 설명한다. 이해의 정도차는 주체들이 알고 있는 다른 것들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S*는 전기 배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기 때문에 더 잘 이해한다.
지금까지 이해가 지식으로 환원된다는 주장을 살펴봤지만, 다른 인식적 상태로 환원된다는 입장도 있을 수 있다. 한 인식적 상태를 phi라고 하면, 환원주의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환원주의: phi는 이해의 전부다. 한 주체가 왜 p인지 이해하는 정도는 그 주체가 가진 phi에 의거해 완전히 설명될 수 있다.
phi에 해당하는 인식적 상태는 한 가지일 수도 있지만, 여러 인식적 상태라는 다원적 환원주의도 가능하다. 그리고 지식 기반 이론가들은 환원주의를 이해에 대한 다른 이론들의 대안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양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해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견해들도 환원주의와 양립 가능하다.
파악하기(grasping): 이해를 갖기 위해, 이해의 대상에 대해 특정 인지적 관계(파악하기)에 놓여야 한다.
능력(ability): 주체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이해의 대상에 대한 특정 능력들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해를 갖는다.
환원주의, 파악하기 견해, 능력 견해의 어떤 조합도 모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능력이 지식에 형이상학적으로 의존한다고 보면, 능력 견해와 환원주의(지식으로 환원)를 동시에 받아들일 수 있다. 반면 능력이 지식으로 환원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환원주의와 능력 견해를 동시에 받아들일 수 없다.
- How to Test Reductionism
기존 논의들은 주체가 왜 p인지 이해하는지 아닌지에만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환원주의 이론을 시험할 때 이해의 정도차에 주목하는 것이 더 생산적일 것이다. 이런 시험을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이해의 정도에 차이가 나는 주체들을 비교하는 것이다. 왜 이런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 정도차가 있다는 점은 지식과 구분되는 이해의 특성이다.
- 주체들 사이의 매우 세분화된 차이를 평가할 수 있다. 인식적 상태가 약간만 변화하는 경우 등.
- 이해인지 아닌지만 판단할 때 영향을 주는 맥락민감적 요소를 통제할 수 있다. e.g., 왜 기후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주체가 이해했는지 판단할 때, 그 주체가 기후 학회에 있는지 아니면 고등학교에 있는지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정도를 비교하면 이런 문제를 피해갈 수 있다.
- 한 맥락에서, 비교하는 두 주체가 둘 다 이해를 했는데 정도차가 있는 경우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정도차에 주목하면 환원주의 이론이 개입하고 있는, 기존 문헌들에서 완전히 드러나지 않은 것들을 규명할 수 있다. 환원주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리에 개입한다.
- 개선(improvement): 오직 새로운 phi를 얻음으로써만 이해가 직접적으로 개선된다: phi가 아닌 다른 인식적 상태를 얻어도 이해가 직접적으로 개선되지 않는다.
- 전환(conversion): p를 phi하는 것이 (부분적으로) 이해를 구성한다면, 만약 p와 주체의 관계가, p를 phi하는 것이 아닌 다른 관계에 의해 대체된다면 이해는 저하된다.
- 저하(impoverishment): 오직 phi를 잃음으로써만 이해가 직접적으로 저하된다. phi가 아닌 다른 인식적 상태를 잃어도 이해가 직접적으로 저하되지 않는다.
이 원리들은 환원주의 이론은 시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Against Knowledge-based Reductionism
이해가 지식으로 환원된다는 입장에 반대하는 잘 알려졌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는 논증은, 비사실적(non-factive) 인식적 상태가 주체의 이해의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다른 비판을 제시한다.
4.1 Putative Counterexample
세 주체가 같은 인식적 지위에 있고, 새로운 정보에 대해 반응을 하는 성향이 같다고 하자.
Annie, Brain & Carl: 셋 모두 환경이 인간 행위에 민감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 그리고 메탄이 석유 공정 같은 산업들에 의해 발생하며, 온실가스이기 때문에 환경에 나쁘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하자. 따라서 그런 산업들을 지지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지 못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하자. 하지만 육류 산업이 환경에 해를 주는 것은 모른다고 하자.
그 후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다고 하자.
- Annie: 매우 믿을 만한 신문에서 "육류 산업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많은 메탄을 방출한다"라는 헤드라인을 읽고, <육류 산업이 메탄을 발생시킨다>를 믿고 여기서 <육류 산업이 석유 산업과 같은 이유로 도덕적 문제가 있다>를 추론했다.
- Brian: Annie와 거의 같은 일을 겪었지만, 육류 산업에 대한 기사 외에는 음모론뿐인 웹사이트에서 읽었다.
- Carl: 아무 일도 없었다.
4.2. Discussion
위의 사례에서 다음과 같은 논제가 나온다.
(1) <육류 산업이 메탄을 발생시킨다>는 Brian의 믿음은 지식이 아니다.
왜냐하면 Brian은 신빙성 없는 증언을 통해 이 믿음을 얻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가 그 웹사이트의 음모론들 중에서 유일하게 옳은 헤드라인을 읽은 것은 인식적 운(epistemic luck)에 불과하다.
그리고 다음 논제들도 받아들일 수 있다.
(3) Annie와 Brian은 육류 산업과 환경의 관계에 대해 Carl보다 잘 이해하게 됐다.
(4) Annie와 Brian은 왜 고기를 먹는 것이 올바르지 않은지(왜 p인지) 동등한 정도로 잘 이해한다.
(3)을 받아들인다면 (4)를 거부하기 힘들다. 그들이 같은 인식적 상태에서 시작해 같은 내용을 갖는 믿음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세계를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표상한다. 유일한 차이는 믿음의 원인이다.
따라서, Brian은 지식이 아닌 참된 믿음을 확득한 것만으로도 왜 p인지 더 잘 이해하게 됐다. 그리고 Brian은 p를 단지 p를 신빙성 있는 증언을 듣고 믿는 사람보다 더 잘 이해한다. 왜냐하면 육류 산업이 메탄을 발생시켜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는 점을 믿기 때문이다. 즉, 단지 p를 믿는다는 점 뿐만 아니라 왜 p를 믿는지도 이해의 정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앞의 개선(improvement) 논제는 틀렸다. 그리고 저하(impoversihment) 논제도 틀렸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게다가 (4)를 받아들이면 전환(conversion) 논제도 틀렸다. Annie의 지식이 Brian의 참된 믿음으로 전환되어도 이해의 정도에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4.3. Objections Considered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