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be, J. (2003), "Intentional Action and Side Effects in Ordinary Language", Analysis 63(3) pp. 190-194.
한 회사의 사장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1) 그 프로젝트가 큰 돈이 될 것이며 (2) 그 프로젝트가 다른 효과 x를 낳을 것이라고 믿는다. 단, 그는 (2)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고, 오직 (1)에 대해서만 신경 쓴다. 효과 x처럼, 어떤 사람이 자신의 행동의 결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긴 하지만 신경은 쓰지 않는 효과를 '부작용'[부정적인 효과일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음]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 행위자는 부작용을 의도적으로 유발했는가?
이 문제는 의도적 행위의 개념과 관련하여 논쟁거리가 되었다. Mele은 부작용이 의도적으로 유발되지 않았다고 보는 반면, Bratman은 부작용이 의도적으로 유발되었다고 봐야 할 상황이 있다고 본다. 이 논쟁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어떻게 이야기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부작용이 의도적으로 유발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사람들의 직관은 부작용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다. 특히, 부작용이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 사람들의 직관이 크게 달라진다.
1. First Experiment
한 집단의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환경 오염 사례: "한 회사의 사장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1) 그 프로젝트가 큰 돈이 될 것이며 (2) 그 프로젝트가 환경을 오염시킬 것이라고 믿는다. 단, 그는 (2)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고, 오직 (1)에 대해서만 신경 쓴다."
다른 집단의 사람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위의 이야기에서는 그 프로젝트가 환경을 오염시키지만, 아래의 이야기에서는 환경을 개선시킨다는 점만 다르고 다른 점들은 동일하다.
환경 개선 사례: "한 회사의 사장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1) 그 프로젝트가 큰 돈이 될 것이며 (2) 그 프로젝트가 환경을 개선시킬 것이라고 믿는다. 단, 그는 (2)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고, 오직 (1)에 대해서만 신경 쓴다."
두 집단의 사람들에게 사장을 얼마나 비판 혹은 칭찬해야 하는지, 사장이 환경을 의도적으로 오염 혹은 개선시켰는지 물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환경 오염 사례에서 사장이 비판받아야 하며 의도적으로 환경을 오염시켰다고 했지만, 환경 개선 사례에서는 칭찬받을 필요가 없으며 의도적으로 환경을 개선시킨 것이 아니라고 답했다.
2. Second Experiment
첫 번째 실험 결과가 사람들이 회사나 환경 문제 등에 대해 가지고 있던 생각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군대 배경의 다른 사례로도 조사했다.
위험한 사례: "중위가 병장에게 병사들을 데리고 언덕 위로 돌격할 것을 명했다. 그는 (1) 언덕 점령이 중요하며 (2) 언덕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사망자가 생길 것이라고 믿는다. 단, 그는 (2)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고, 오직 (1)에 대해서만 신경 쓴다."
안전한 사례: "중위가 병장에게 병사들을 데리고 언덕 위로 돌격할 것을 명했다. 그는 (1) 언덕 점령이 중요하며 (2) 언덕을 점령하는 일이 오히려 사망자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단, 그는 (2)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고, 오직 (1)에 대해서만 신경 쓴다."
두 집단의 사람들에게 중위를 얼마나 비판 혹은 칭찬해야 하는지, 중위가 병사들을 의도적으로 희생시켰거나 구했는지 물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험한 사례에서 중위가 비판받아야 하며 의도적으로 병사들을 희생시켰다고 했지만, 안전한 사례에서는 칭찬받을 필요가 없으며 의도적으로 병사들을 구한 것이 아니라고 답했다.
3. Explaining the Results
부작용이 긍정적일 때와 부정적일 때, 그 행위자를 칭찬 또는 비판해야 되는지의 여부에 대해 사람들은 비대칭적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리고 이런 비대칭성은 의도라는 개념을 적용할 때의 비대칭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 같다. 즉, 사람들은 부작용이 긍정적일 때보다 부정적일 때 그 행위자가 의도적으로 그 부작용을 유발했다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는 나오지 않지만, 저자는 의도라는 개념이 윤리적이며 가치-비중립적인 개념이라고 주장한다고 한다.]
[중간에 인용된 Bratman의 논문은 Bratman, M. (1984), "Two Faces of Intention", Philosophical Review 93: pp. 375–40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