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19년 9월 25일 수요일

[요약정리] Rachels, James. (2002). The Elements of Moral Philosophy (4th ed.) 6장: Ethical Egoism

번역: 노혜련·김기덕·박소영 역, 도덕철학의 기초
 
6.1. 굶주리는 사람을 도와야 할 의무가 있는가?
우리 자신의 이익과 다른 사람의 이익 간에 균형을 이루어 행동하는 것이 도덕적이다.
- 사람들이 자기 이익을 추구한다는 것만으로 비난받아서는 안 되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의 욕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 우리는 다른 사람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가지고 있다. 다른 사람도 우리가 하는 행위에 따라 도움을 받거나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여기서 전제는 다른 사람의 이익은 그 자체로 중요하다는 것이다.
- 윤리적 이기주의는 이 전제를 거부한다.
 
윤리적 이기주의: 사람들은 오로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해야 한다.
- 심리적 이기주의(태생적 이기주의 - 이석재 교수님의 용어)와는 다르다. 심리적 이기주의는 실제 사람들이 늘 자신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윤리적 이기주의는 실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와 상관 없이,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 윤리적 이기주의의 입장에서 옳은 행위의 기준은 오직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지의 여부이다. 다른 사람을 돕는 행위가 옳지 않다는 주장은 아니다.
- 윤리적 이기주의는 장기적으로 볼 때 자기 자신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행위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항상 자신이 원하는 행위를 해야 한다거나, 단기적인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다.
 
6.2. 윤리적 이기주의를 지지하는 세 가지 논증
논증 1
이타주의는 자멸적(self-defeating)이다.
(전제 1) 우리는 개개인 모두의 이익을 가장 잘 증진시키는 행위를 해야 한다.
(전제 2)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은 오히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끼친다.
- 우리는 다른 사람이 원하는 것을 완전히 알지 못하므로, 오히려 다른 사람을 도우려다가 피해를 더 많이 끼치게 될 것이다.
-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은 그 사람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것이다.
- 다른 사람을 돕는 것은 그 사람의 존엄성과 자존감을 훼손시킨다.
(결론) 우리는 우리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해야 한다.
 
논증 1의 문제점
-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때 피해를 더 많이 끼치는 것 같지는 않다. e.g. 굶주리는 아이에게 음식을 주는 일이 그 아이의 사생활에 간섭하는 일이기는 해도 피해를 입히는 것은 아니다.
- 논증 1은 이기적이지 않은 이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개개인 모두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라면, 그것은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고 따라서 이기적이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논증 2
이기주의만이 개인의 삶을 가치 있게 여긴다. - 아인 랜드(Ayn Rand)의 논증
(전제 1) 개인의 삶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제 2) 이타주의는 개인의 삶을 희생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결국 개인의 가치를 부정하도록 만든다.
(전제 3) 이기주의는 각 개인이 자신의 삶을 그 무엇보다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결론) 따라서 이기주의를 수용해야 한다.
 
논증 2의 문제점
-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이분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 랜드는 이타주의를 자신의 이익은 가치가 없으며, 개인은 언제나 전적으로 자신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 극단적 관점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타주의자들도 이런 관점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 상식적 관점은 랜드가 묘사한 양 극단이 아니라 그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논증 3
상식적 도덕과 양립 가능한 윤리적 이기주의
- 앞의 두 논증과 달리, 이기주의를 상식적 도덕을 받아들이되 그 근본에 대해 다르게 설명하는 입장으로 해석한다.
- 도덕은 여러 규칙들을 준수하는 것인데, 그 규칙들은 궁극적으로는 자기 이익의 추구라는 한 가지 근본 원리에서 파생되어 나온다.
e. g.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는 규칙: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친다면 다른 사람도 우리에게 해를 끼칠 것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말아야 한다.
 
논증 3의 문제점
- 규칙의 준수가 자기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는 점을 충분히 증명하지 못한다.
- 규칙을 어겼을 때 자기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를 비도덕적이라고 하지 못한다.
- 자기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도,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의 근본적인 이유는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해서일 수가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고 실험: 이기주의자들은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이 뿌듯함을 느끼게 하기 때문에 결국 자기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주장을 반박하는 사고실험이 존재한다. 기부했을 때의 뿌듯함을 느끼게 해주는 약이 있다고 하자. 타인에게 기부하던 사람이 기부금보다 더 싼 가격으로 그 약을 살 수 있다면 그 사람은 기부를 그만둘 것인가? 그렇지 않을 것이다.]
 
 
6.3. 윤리적 이기주의에 반대하는 세 가지 논증
논증 1
윤리적 이기주의는 이익 간의 충돌을 해결할 수 없다.
(전제 1) 적절한 도덕 이론은 이익이 충돌하는 경우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조화롭게 공생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전제 2) 윤리적 이기주의는 사람들 간에 이익이 충돌하는 경우를 허용한다. e. g. 바이에르(Kurt Baier)가 든 대통령 후보 K, B 사례.
(결론) 윤리적 이기주의는 적절한 도덕 이론이 아니다.
논증 1의 문제점
- 윤리적 이기주의자들은 (전제 1)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 윤리적 이기주의자들은 애초에 인간의 삶이란 개인이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 나가며 발생하는 충돌의 연속이라고 생각한다. 윤리적 이기주의자들은 이익의 충돌은 한 개인의 승리로 해결되는 것이지, 도덕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논증 2
윤리적 이기주의는 논리적으로 모순된다.
(전제 1) 윤리적 이기주의에 따르면 자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도덕적이다.
(전제 2) 다른 사람의 이익 추구를 방해하는 일은 도덕적이지 않다.
(결론 1)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이익 추구를 방해하는 행위는 도덕적인 동시에 도덕적이지 않다. 이는 모순이다.
(결론 2) 모순이 발생하므로 윤리적 이기주의는 틀렸다.
 
논증 2의 문제점
- 윤리적 이기주의자들은 (전제 2)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 윤리적 이기주의에 따르면 어떤 행위가 도덕적인지의 여부는 다른 사람의 이익과 관련 없이 자기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논증 3
윤리적 이기주의는 수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의적이다.
(전제 1) 사람들에 대한 차별적 대우는 그러한 대우가 타당하다는 것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한 차이가 당사자들 사이에 존재할 때만 정당화될 수 있다.
(전제 2) 윤리적 이기주의는 자신의 이익과 타인의 이익 중 전자를 중요하게 여김으로써 자신과 타인을 차별적으로 대우한다.
(전제 3) 자신과 타인 사이의 차별적 대우가 타당하다는 것을 뒷받침할 차이가 없다.
(결론) 윤리적 이기주의는 틀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