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19년 9월 2일 월요일

[메모] 과학 이론에 대한 구문론적 관점에 대한 비판

Craver, Carl. "Structures of Scientific Theories"(in The Blackwell Guide to the Philosophy of Science)의 일부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과학 이론에 대한 구문론적 관점은 주로 논리실증주의자들이 발전시킨 관점이다. 구문론적 관점에 따르면 과학 이론은 1차 술어 논리로 형식화된 정리들을 열거(enumeration)한 언어적 존재자이다. 이론의 문장들은 이론적 가설과 대응 규칙(correspondence rule)[과 관찰 진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문장들은 논리적 용어들(연언, 선언, 등호 등), 관찰 용어들(관찰 가능한 대상 또는 속성을 지시하는 용어들), 이론 용어들(관찰 불가능한 대상, 속성을 지시하는 용어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론적 가설이란 관찰 용어를 포함하지 않고 논리적 용어들과 이론 용어들만을 포함하는 문장이다. 대응 규칙은 이론적 용어에 의미를 부여(이론에 경험적 내용, 예측적, 설명적 능력 등을 부여)한다. , 대응 규칙을 통해 이론 용어는 관찰 용어에서 의미를 간접적으로 부여받는다.
이론에 대한 구문론적 관점은 많은 비판을 받았다. 구문론적 관점에 제기된 주된 비판들은 다음과 같다.
 
(1) 구문론적 관점은 실제(wild) 이론의 구조를 잘못 기술한다.
- 구문론적 관점은 이론의 연역적 추론 구조를 강조하지만, 과학 이론은 연역적 추론 구조 말고도 다양한 패턴(pattern)을 가지고 있다.
- 구문론적 관점은 법칙적 패턴을 강조하지만, 인과적, 역학적 패턴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구문론적 관점은 과학 이론의 수학적 구조를 1차 술어논리로 형식화하지만, 1차 술어논리는 실제 과학에서 사용되는 수학(확률, 통계 등)을 잘 다룰 수 없다.
 
(2) 구문론적 관점은 실제 이론의 변화를 왜곡한다.
- 구문론적 관점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론의 생성, 평가, 개정, 대체 과정 등을 잘 반영하지 않는다.
- 구문론적 관점은 이론 변화의 단계적, 부분적 특성을 잘 반영하지 않는다.
- 구문론적 관점은 이론 간 관계, 이론 간 환원을 연역적 도출로 설명하지만, 실제 과학 이론 간 관계, 이론 간 환원은 연역적 도출로 설명되지 않는다.
 
(3) 구문론적 관점은 법칙을 과도하게 강조한다.
- 구문론적 관점은 법칙을 강조하지만 실제 이론에는 법칙이 없거나, 있더라도 중요하지 않다.
- 구문론적 관점은 법칙을 보편적이고 제한 없고 예외 없는 것으로 상정하지만 생물학의 법칙들에는 이런 특성이 없다.
- 일반적으로 법칙들은 조건부(ceteris paribus) 법칙들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