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19년 2월 11일 월요일

[요약정리/개조식] 『과학기술학의 세계』 3장: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에 관하여

3장 저자: 홍성욱


1. 사회구성주의의 전사(前史)
■ 스트롱 프로그램
ㅇ 과학 지식의 구성에 '항상' 사회적 요소가 개입한다고 주장한 점에서 '강한' 프로그램.
ㅇ 로버트 머튼의 과학사회학에 대한 비판을 출발점으로 삼음.
ㅡ 머튼의 에토스와 규범은 실제 과학자의 연구 원리가 아니라, 과학자들 스스로 그렇게 주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
ㅡ 사회과학에는 지식사회학 방법론을 적용하면서 자연과학에는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 것도 비판.

■ 사회구성주의에 영향을 준 요인
ㅇ 쿤의 패러다임 개념
ㅇ 핸슨의 관찰의 이론적재성 개념 - 선입견, 미결정성 등과 결합
ㅇ 과학과 사회의 연관성을 보여준 과학사 저작들

2. 스트롱 프로그램과 상대주의 경험프로그램
■ 스트롱 프로그램
ㅇ 네 가지 명제: 인과성, 공평성, 대칭성, 성찰성
ㅇ 특정 과학 지식의 형성에 어떤 사회적 요인이 관여하는가에 대해 논리적 연관성은 없음.
ㅡ 경험적으로 추적해야 할 문제. 

■ 상대주의 경험프로그램(EPOR): 과학과 사회의 연결고리를 찾는 방법론
ㅇ 첫 번째 단계: 해석적 유연성 발견
ㅇ 두 번째 단계: 해석적 유연성을 제한하여 논쟁을 종결지은 기체 발견
ㅇ 세 번째 단계: 이런 기제와 좀 더 넓은 사회구조 사이의 관계 발견
ㅇ 콜린스의 중력파 논쟁 연구

■ 스트롱 프로그램의 연구들
ㅇ 섀핀, 섀퍼: 보일-홉스 논쟁 연구
ㅇ 맥켄지: 피어슨-율의 통계학 논쟁 연구
ㅇ 과학지식의 사회문화적 맥락 의존성과 국지성을 보여줌.

3. 사회구성주의에 대한 비판과 대응
■ 사회구성주의에 대한 비판
ㅇ 비판1: 과학지식은 비국지적이고 보편적 특성을 갖는 것이 훨씬 많음.
ㅇ 비판2: (1) 미결정성 문제는 현실적으로는 별로 일어나지 않고, (2) 만약 일어난다고 하면 사회, 문화, 정치적 이해관계가 개입해도 미결정성이 해결되지 않을 것임.
ㅇ 비판3: 대칭성 명제를 왜 따라야 하는지.
ㅇ 비판4: 성찰성 명제를 받아들이면 사회구성주의 자체가 붕괴함. 혹은, 상대주의로 이어짐.
ㅇ 비판5: 과학과 사회를 분리해 이분법적으로 사고하는 것은 잘못임.
ㅡ 특히 행위자-연결망 이론 진영에서 주로 제기됨: 사회구성주의는 대칭성의 원리를 끝까지 밀어 붙이지 못했음. 

■ 비판에 대한 대응
ㅇ 비판1에 대한 대응: 보편성 역시 사회적 산물. 
ㅡ 사회문화적 맥락이 탈색되는 탈맥락화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객관성과 보편성이 부여된 것. 
ㅡ 보편적이라고 여겨지는 지식도 제반 조건이 갖춰지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음.
ㅇ 비판2에 대한 대응: (1) '결정적 실험'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경우는 적으며 (2) 무한회귀가 별로 일어나지 않고 미결정성이 해소되는 이유는 결국 어떤 규칙이 사회적으로 합의되었기 때문임.
ㅇ 비판3에 대한 대응: 대칭성 명제는 참/거짓 구분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방법론적인 것임. 
ㅡ 참과 거짓이 구별이 안 된다는 것이 아니라, 참 믿음이 거짓 믿음과 다른 특별한 이유 때문에 가능하다는 특권적 지위를 미리 부여하지 말자는 것.
ㅇ 비판4에 대한 대응: 사회구성주의자들의 상대주의는 참/거짓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그 구분이 구성된 것이고 변할 수 있다는 것.
ㅇ 비판5에 대한 대응: 사회구성주의자의 관심 대상은 자연 그 자체가 아니라 과학지식이므로, 자연과 사회의 이분법을 주장하는 것이 아님. 과학'지식'의 형성에 사회적 요소가 개입한다는 것.


4. 실험자의 회귀
 ■ 콜린스의 중력파 연구
ㅇ 논쟁이 종결된 이유
ㅡ 심리적, 사회적 요소: 과학자의 명성과 출신 등
ㅡ 캘리브레이션: 어떤 표준을 선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사회적 합의를 포함하며, 이러한 점이 실험자 회귀를 종결시킴.


5.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의 이해
■ 사회적 구성에 대한 비판의 근거
ㅇ 모든 연구에 사회적 요소가 들어 있지는 않음
ㅡ 대응: 전방의 과학과 후방의 과학 나누기.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영역을 개척하는 전방의 과학에서는 사회적 요소의 개입이 크고, 후방의 과학에서는 적음.
ㅇ 사회구성주의의 사례 연구에 등장하는 과학자들 스스로가 자신의 연구가 사회적으로 수성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음.
ㅡ 대응: 과학지식의 구성 과정에서 과학 내적인 인식적 요소와 사회적인 요소가 벡터합을 이루지만, 과학자들 자신들은 두 요소를 분리해서 인식하지 않음. 
ㄴ 사회적 요소들이 과학자의 실행 속에 침투해서 과학자의 '밑천'으로 탈바꿈한 뒤, 다른 인식적 요소와 혼재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