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20년 3월 20일 금요일

[참고문헌] 강진호, 2020년 1학기 심리철학연습(행위, 의도, 행위성) 강의계획서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개설 과목


• 아래 두 문헌은 본 세미나에서 논의할 모든 쟁점들의 원천을 제공한다.
- Davidson, D. (1963). “Actions, Reasons, and Causes”. reprinted in Davidson (1980/2001)
- Anscombe, G.E.M. (1957/2000). Inten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다음 항목은 세미나 주제와 관련하여 유용한 지형도를
제공해준다.
- Wilson, G. & Shpall, S. “Action”
- Setiya, K. “Intention”
- Schlosser, M. “Agency”



원인으로서의 이유: 데이빗슨의 인과적 행위 이론
- Wittgenstein (1958), Blue and Brown Books, pp.14-15
- Ryle (1949), The Concept of Mind, Ch. I - 요약정리
- Ryle (1949), The Concept of Mind, Ch. III
- Ryle (1949), The Concept of Mind, Ch. X
- Davidson (1963), “Actions, Reasons, and Causes”

의도에 대한 환원주의와 비환원주의 - 의도와 의도적 행위의 관계: 크노베 효과 문제
- Davidson (1970), “Intending”
- Bratman (1984), “Two Faces of Intention”
- Knobe (2003), “Intentional Action and Side Effects in Ordinary Language” - 요약정리

데이빗슨의 무법칙적 일원론과 속성 부수현상론의 문제
- Davidson (1970), “Mental Events”
- Davidson (1993), “Thinking Causes”
- Kim (1993), “Can Supervenience and ‘Non-Strict Laws’ Save Anomalous Monism?”

인과적 행위 이론과 이탈적 인과 고리 문제
- Davidson (1973), “Freedom to Act”
- Smith (2009), “The Explanatory Role of Being Rational”

이유의 본성과 비심리주의적 이유 이론
- Dancy (2003), Practical Reality, Ch. 5
- Dancy (2003), Practical Reality, Ch. 6
- Dancy (2003), Practical Reality, Ch. 8

행위성과 사라지는 행위자 문제
- Davidson (1971), “Agency”
- Velleman (1992), “What Happens When Someone Acts?”

구성주의 행위 이론 - 사건 인과 모형 vs. 행위자 인과 모형
- Velleman (2000), “Introduction”. In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Reason
- Katsafanas (2018), “Constitutivism about Practical Reasons”
- O’Connor (2011), “Agent-Causal Theories of Freedom”

행위 설명과 1인칭 관점
- Kim (2010), “Taking the Agent’s Point of View Seriously in Action Explanation”
- Nelkin (2000), “Two Standpoints and the Belief in Freedom”

앤스컴의 『의도』
- Anscombe (1957), Intention, §§1-27

앤스컴의 『의도』(계속)
- Anscombe (1957), Intention, §§28-52

톰슨의 소박한 행위 이론
- Thompson (2008), “Naïve Action Theory”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