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ZoLAist's Wikinote
Okruhlik, K. (1994), "Gender and Biological Sciences",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Supplementary vol. 20: 21-42.
도입
과학이 젠더 이데올로기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다는 증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과학철학의 과학적 합리성에 대한 논의에서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문제가 되고 있다.
생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은 정치적인 면에서와 인식론적 면에서 중요하다. 먼저 정치적인 면에서, 생물학은 흔히 생물학적 결정론과 결부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생물학적 결정론은 여성의 억압을 자연스러운 결과로 "설명"해주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식론적인 면에서 생물학은 과학이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사회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들은 사회과학은 과학이 아니라는 이유로 과학철학적 논의에서 배제되곤 했다. 하지만 생물학을 과학에서 제외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생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은 과학에도 이데올로기적 요소들이 영향을 준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다.
몇 가지 사례 연구들
생물학의 기존 이론들이 가지고 있는 성편향을 지적하고, 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은 이론들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새로운 여성주의적 가설들은 참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새로운 가설이 기존의 표준 이론이 성 편향에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 분명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이다. 새로운 가설 덕분에 기존 이론이 우리가 어떤 질문을 하고 무슨 가설을 탐구할 지, 어떤 자료를 중요한 것으로 취급할 지 등의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가 드러나게 된다.
ㅇ 관찰의 이론 적재성과 자료에 의한 이론 미결정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 편향 사례
ㅡ "적극적인 정자와 수동적인 난자" 도식 vs. 난자의 적극적인 역할
ㅡ 수렵-채집기 인간의 진화에서 남성의 활동 강조 vs. 여성의 활동 강조
ㅇ 뒤앙-콰인 논제로 설명할 수 있는 편향 사례
ㅡ 남성의 지적 능력이 우월하다는 주장: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었다. 이 가설들은 대부분 분명히 반박된 것으로 보이는데도, 연구자들은 남성이 더 똑똑한 생물학적인 이유가 있다는 가설을 포기하지 않고 이론의 다른 부분을 수정해가며 반증을 피해간다.
ㄴ 공간적 능력은 성 염색체와 관련이 있다.
ㄴ 남성 호르몬 농도가 지능을 높인다.
ㄴ 남성의 두뇌가 더 좌우대칭적이어서 공간적 능력이 뛰어나다. 완전히 반대로, 남성의 두뇌가 더 좌우불균형이 심해서 공간적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주장도 있다.
ㄴ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요산을 가지기 때문에 지능이 높다.
ㅇ 성 편향이 기술적일 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규범으로 존재하는 사례
ㄴ 의학에서 남성의 신체를 표준적인 신체로 간주한다.
ㄴ 동물실험에서 수컷을 표준적인 실험동물로 간주한다.
다양한 여성주의적 비판
ㅇ 성편향적 이론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한다.
ㅡ 성편향적 사례들은 과학적 방법론을 엄밀하게 지키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나쁜 과학"의 사례들인가, 아니면 과학이 본질적으로 남성중심적임을 보여주는 사례들인가?
ㅡ 성편향적 사례들은 과학철학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첫째 질문과 관련하여, 하딩(Sandra Harding)은 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을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한다.
ㅇ 여성주의적 경험론: 성편향적 사례들은 과학적 방법론을 충실히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과학적 방법론을 충실히 따르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ㅇ 관점 인식론(standpoint epistemology):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가지고 있는 인식론적 강점들이 있으며, 따라서 여성의 관점에 기반을 둔 새로운 과학이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새로운 과학은 기존 과학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ㅡ 비판: 단일한 여성의 관점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성의 관점과 남성이 관점이 다르듯이, 가난한 여성과 붕유한 여성, 흑인 여성과 백인 여성, 동성애자 여성과 이성애자 여성 등은 각기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다.
ㅇ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 세계에 대한 기술들은 다양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문화, 시간, 장소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론적은 존재하지 않는다.
저자인 오크룰릭은 하딩의 분류가 유용하긴 하지만 다른 형태의 여성주의적 입장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론이 존재하더라도 이데올로기가 과학의 내용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음 절에서 이런 입장을 자세히 다룬다.
과학과 공유된 사회적 가치들
전통적으로 과학철학에서는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을 구분한다. 발견의 맥락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거나 가설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발견이나 가설 생성을 해도 허용된다. 정당화의 맥락에서는 새로운 발견이나 가설이 과학적 방법론에 따라 시험된다. 발견의 맥락에 영향을 준 사회적·심리적 요인들은 정당화의 맥락에서 걸러진다고 여겨진다.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의 구분에서 자주 인용되는 사례는 케쿨레의 벤젠 구조 발견이다. 케쿨레는 꿈에서 여러 마리의 뱀이 서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고리 모양을 만드는 모습을 보고 벤젠 구조가 고리 모양이라는 가설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발견의 맥락). 이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실제로 벤젠 구조가 고리 모양이라는 점이 입증되었다(정당화의 맥락). 이와 같이 발견의 맥락에서 발견, 가설 생성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도 상관이 없다. 중요한 것은 정당화의 맥락에서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그 발견, 가설이 얼마나 잘 입증되느냐이다.]
전통적인 과학철학에서도 젠더 이데올로기가 과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 영향은 발견에 맥락에 국한된다고 본다. 정당화의 맥락에서 그런 영향은 제거된다는 것이다. 만약 젠더 이데올로기가 정당화의 맥락을 통과해 과학의 내용에 영향을 준다면, 그것은 과학적 방법론을 충실히 지키지 못한 "나쁜 과학"의 사례일 뿐이라고 본다.
저자에 따르면 이런 관점은 정당화의 맥락에서 가설의 평가가 상대평가라는 점을 간과한 것이다.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가설을 평가하는 과정은, 제안된 가설들 간의 평가일 뿐이다. 즉, 정당화의 맥락에서 채택된 가설은 참인 가설이라는 보장이 없으며, 기껏해야 다른 가설들보다 상대적으로 낫다는 보장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애초에 발견의 맥락에서 성편향적인 가설들만이 제한되었다면, 정당화의 맥락에서 선택되는 가설도 성편향적일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젠더 이데올로기가 발견의 맥락에 영향을 준다면 정당화의 맥락에서 이론 선택이 합리적으로 일어나더라도 그런 영향을 제거할 수 없다.
상황의 재검토
이와 같은 견해는 하딩의 세 범주 각각과 겹치는 부분도 있고 다른 부분도 있다.
ㅇ 여성주의적 경험론과의 비교
ㅡ 공통점: 확립되어 있는 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객관성과 합리성을 계속 증진시켜 나갈 수 있다고 본다.
ㅡ 여성주의적 경험론과 다른 점: 사회적인 요인이 방법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또한, 개인적 합리성과 과학자 공동체의 합리성이 다르며, 공동체에 다양한 관점들이 도입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ㅇ 관점 인식론과의 비교
ㅡ 공통점: 과학이 다양한 관점들이 도입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ㅡ 관점 인식론과 다른 점: 인식적 특권은 개개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점들을 포괄하는 공동체에 부여된다. 또한, 남성과 다른 여성의 관점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ㅇ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과의 비교
ㅡ 공통점: 형이상학적 반실재론과 양립 가능하다. 성편향은 서로 다른 과학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며, 그런 편향을 제거할 단일한 여성주의적 방법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ㅡ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른 점: 객관성과 합리성을 통째로 거부하지 않는다.
도입
과학이 젠더 이데올로기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다는 증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과학철학의 과학적 합리성에 대한 논의에서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문제가 되고 있다.
생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은 정치적인 면에서와 인식론적 면에서 중요하다. 먼저 정치적인 면에서, 생물학은 흔히 생물학적 결정론과 결부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생물학적 결정론은 여성의 억압을 자연스러운 결과로 "설명"해주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식론적인 면에서 생물학은 과학이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사회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들은 사회과학은 과학이 아니라는 이유로 과학철학적 논의에서 배제되곤 했다. 하지만 생물학을 과학에서 제외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생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은 과학에도 이데올로기적 요소들이 영향을 준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다.
몇 가지 사례 연구들
생물학의 기존 이론들이 가지고 있는 성편향을 지적하고, 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은 이론들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새로운 여성주의적 가설들은 참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새로운 가설이 기존의 표준 이론이 성 편향에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 분명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이다. 새로운 가설 덕분에 기존 이론이 우리가 어떤 질문을 하고 무슨 가설을 탐구할 지, 어떤 자료를 중요한 것으로 취급할 지 등의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가 드러나게 된다.
ㅇ 관찰의 이론 적재성과 자료에 의한 이론 미결정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 편향 사례
ㅡ "적극적인 정자와 수동적인 난자" 도식 vs. 난자의 적극적인 역할
ㅡ 수렵-채집기 인간의 진화에서 남성의 활동 강조 vs. 여성의 활동 강조
ㅇ 뒤앙-콰인 논제로 설명할 수 있는 편향 사례
ㅡ 남성의 지적 능력이 우월하다는 주장: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었다. 이 가설들은 대부분 분명히 반박된 것으로 보이는데도, 연구자들은 남성이 더 똑똑한 생물학적인 이유가 있다는 가설을 포기하지 않고 이론의 다른 부분을 수정해가며 반증을 피해간다.
ㄴ 공간적 능력은 성 염색체와 관련이 있다.
ㄴ 남성 호르몬 농도가 지능을 높인다.
ㄴ 남성의 두뇌가 더 좌우대칭적이어서 공간적 능력이 뛰어나다. 완전히 반대로, 남성의 두뇌가 더 좌우불균형이 심해서 공간적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주장도 있다.
ㄴ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요산을 가지기 때문에 지능이 높다.
ㅇ 성 편향이 기술적일 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규범으로 존재하는 사례
ㄴ 의학에서 남성의 신체를 표준적인 신체로 간주한다.
ㄴ 동물실험에서 수컷을 표준적인 실험동물로 간주한다.
다양한 여성주의적 비판
ㅇ 성편향적 이론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한다.
ㅡ 성편향적 사례들은 과학적 방법론을 엄밀하게 지키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나쁜 과학"의 사례들인가, 아니면 과학이 본질적으로 남성중심적임을 보여주는 사례들인가?
ㅡ 성편향적 사례들은 과학철학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첫째 질문과 관련하여, 하딩(Sandra Harding)은 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을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한다.
ㅇ 여성주의적 경험론: 성편향적 사례들은 과학적 방법론을 충실히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과학적 방법론을 충실히 따르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ㅇ 관점 인식론(standpoint epistemology):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가지고 있는 인식론적 강점들이 있으며, 따라서 여성의 관점에 기반을 둔 새로운 과학이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새로운 과학은 기존 과학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ㅡ 비판: 단일한 여성의 관점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성의 관점과 남성이 관점이 다르듯이, 가난한 여성과 붕유한 여성, 흑인 여성과 백인 여성, 동성애자 여성과 이성애자 여성 등은 각기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다.
ㅇ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 세계에 대한 기술들은 다양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문화, 시간, 장소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론적은 존재하지 않는다.
저자인 오크룰릭은 하딩의 분류가 유용하긴 하지만 다른 형태의 여성주의적 입장도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론이 존재하더라도 이데올로기가 과학의 내용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음 절에서 이런 입장을 자세히 다룬다.
과학과 공유된 사회적 가치들
전통적으로 과학철학에서는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을 구분한다. 발견의 맥락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거나 가설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발견이나 가설 생성을 해도 허용된다. 정당화의 맥락에서는 새로운 발견이나 가설이 과학적 방법론에 따라 시험된다. 발견의 맥락에 영향을 준 사회적·심리적 요인들은 정당화의 맥락에서 걸러진다고 여겨진다.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의 구분에서 자주 인용되는 사례는 케쿨레의 벤젠 구조 발견이다. 케쿨레는 꿈에서 여러 마리의 뱀이 서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고리 모양을 만드는 모습을 보고 벤젠 구조가 고리 모양이라는 가설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발견의 맥락). 이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실제로 벤젠 구조가 고리 모양이라는 점이 입증되었다(정당화의 맥락). 이와 같이 발견의 맥락에서 발견, 가설 생성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도 상관이 없다. 중요한 것은 정당화의 맥락에서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그 발견, 가설이 얼마나 잘 입증되느냐이다.]
전통적인 과학철학에서도 젠더 이데올로기가 과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 영향은 발견에 맥락에 국한된다고 본다. 정당화의 맥락에서 그런 영향은 제거된다는 것이다. 만약 젠더 이데올로기가 정당화의 맥락을 통과해 과학의 내용에 영향을 준다면, 그것은 과학적 방법론을 충실히 지키지 못한 "나쁜 과학"의 사례일 뿐이라고 본다.
저자에 따르면 이런 관점은 정당화의 맥락에서 가설의 평가가 상대평가라는 점을 간과한 것이다.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가설을 평가하는 과정은, 제안된 가설들 간의 평가일 뿐이다. 즉, 정당화의 맥락에서 채택된 가설은 참인 가설이라는 보장이 없으며, 기껏해야 다른 가설들보다 상대적으로 낫다는 보장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애초에 발견의 맥락에서 성편향적인 가설들만이 제한되었다면, 정당화의 맥락에서 선택되는 가설도 성편향적일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젠더 이데올로기가 발견의 맥락에 영향을 준다면 정당화의 맥락에서 이론 선택이 합리적으로 일어나더라도 그런 영향을 제거할 수 없다.
상황의 재검토
이와 같은 견해는 하딩의 세 범주 각각과 겹치는 부분도 있고 다른 부분도 있다.
ㅇ 여성주의적 경험론과의 비교
ㅡ 공통점: 확립되어 있는 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객관성과 합리성을 계속 증진시켜 나갈 수 있다고 본다.
ㅡ 여성주의적 경험론과 다른 점: 사회적인 요인이 방법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또한, 개인적 합리성과 과학자 공동체의 합리성이 다르며, 공동체에 다양한 관점들이 도입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ㅇ 관점 인식론과의 비교
ㅡ 공통점: 과학이 다양한 관점들이 도입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ㅡ 관점 인식론과 다른 점: 인식적 특권은 개개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점들을 포괄하는 공동체에 부여된다. 또한, 남성과 다른 여성의 관점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ㅇ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과의 비교
ㅡ 공통점: 형이상학적 반실재론과 양립 가능하다. 성편향은 서로 다른 과학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며, 그런 편향을 제거할 단일한 여성주의적 방법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ㅡ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른 점: 객관성과 합리성을 통째로 거부하지 않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