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글 목록

2021년 4월 8일 목요일

[요약] Copeland, J. (1993), “The Curious Case of the Chinese Gym”

 Copeland, J. (1993). “The Curious Case of the Chinese Gym”, Synthese 95(2), pp. 173-186.


▶ 설의 주장

▷ 설의 주장에 대한 반론


 중국어 방 논증은 고전적 AI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적절한 반론인가?

 : 중국어 방 논증 [코플랜드의 정식화]

(전제 1) 조의 부분이 아무리 기호 조작을 해도 조는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다.

(결론) 조의 부분이 아무리 기호 조작을 해도 시스템은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다.

 

코플랜드: 위와 같이 정식화되면 중국어 방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 결론이 참인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애초에 전제에서 결론이 따라 나오지 않는다. 위 논증에서 전제는 조에 대한 것인데, 결론은 시스템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 위 논증은 조에 대한 전제에서 시스템에 대한 결론으로 잘못 추론하는 것이다. 이는 다음 논증과 같은 잘못을 범하는 것이다.

 

(전제 1) 청소부 빌은 한국에 파자마를 팔지 않았다.

(결론) 빌이 일하는 회사는 한국에 파자마를 팔지 않았다.

 

이 반론은 시스템 반론과 유사해 보이지만 차이점도 있다. 이 반론은 중국어 방 논증의 결론이 참인지와 무관하게 그 논증이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반면 시스템 반론은 중국어 방 논증의 결론이 거짓이라는 주장까지 포함한다.

 

: 조가 대응표를 완전히 암기했다고 해보자. 그리고 이제 방이 따로 있는게 아니라 조가 야외에 나와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조는 중국어로 질문을 받으면 중국어로 답변할 수 있다. 그럼에도 그는 중국어에 대해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한다. 게다가 중국어 시스템도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이 시스템은 조의 부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전제 (a), (b)를 추가하면 논증이 타당해진다.

 

(전제 1) 조의 부분이 아무리 기호 조작을 해도 조는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다.

(전제 a) 중국어 시스템은 조의 일부이다.

(전제 b) 만약 조가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조의 어떤 부분도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만약 XΦ를 하지 못한다면, X의 어떤 부분도 Φ를 하지 못한다.] - “~의 부분(Part-Of) 원리

(결론) 따라서, 조의 부분이 아무리 기호 조작을 해도 시스템은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다.

 

코플랜드: (전제 b)에 대한 반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해볼 수 있다.

AI 연구자들이 조를 납치해서, 조의 일부 뇌 조직에 시제 논리의 정리들을 증명하는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증명 과정은 조의 뇌에 연결된 외부 화면에 나타났는데, 조는 그 증명을 전혀 이해할 수 없었다.

이 경우 조는 시제 논리의 정리들을 증명하지 못하지만, 조의 부분(일부 뇌 조직)은 증명할 수 있다. 이 사례는 XΦ를 하지 못하는데도, X의 한 부분 Φ를 하는 경우이므로 (전제 b)에 대한 반례이다.

 

설은 연결주의를 적절히 반박했는가?

 : 직렬 시스템과 병렬 시스템은 계산적으로 동등하다. 전통적 직렬 기계도 병렬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어 방에 있는 조가 계산만으로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마찬가지로 직렬 시스템과 병렬 시스템 모두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설에 대한 코플랜드의 해석: 직렬 시스템과 병렬 시스템이 계산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은, 연결주의 구조가 고전적 계산 기계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는 점을 뜻한다. 예를 들어, C를 중국어 처리 병렬 네트워크라고 해보자. 조는 고전적 계산 기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는 C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런데 조가 C를 시뮬레이션한다고 해서 중국어를 이해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C는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 논증을 '시뮬레이션 논증'이라고 부르자.]

(전제 1) 조는 C를 시뮬레이션한다.

(전제 2) 조는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다.

(결론) 따라서, C는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다.

 

코플랜드: 일반적으로 말해, 다음과 같은 "Searle's Beastie"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전제 1) SX의 시뮬레이션이다.

(전제 2) XΦ를 할 수 있다.

(결론) 따라서, SΦ를 할 수 있다.

 

e. g. 다음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전제 1) 기상청 시뮬레이션은 태풍의 시뮬레이션이다.

(전제 2) 태풍은 옷을 젖게 할 수 있다.

(결론) 기상청 시뮬레이션은 옷을 젖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설의 논증은 Searle's Beastie의 대우 논증(contraposed form)이다. Searle's Beastie가 타당하지 않으므로, 설의 시뮬레이션 논증도 타당하지 않다.(논증 <A; B; C>의 대우 논증 <A; ~C; ~B>)

 

 

: 중국어 체육관 논증 [코플랜드의 정식화]

(전제) 어떤 개인도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결론 1) 따라서, 전체로서의 시뮬레이션은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체육관 내 사람들의 조직화 = 연결주의 네트워크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론 2) 따라서, 시뮬레이션되는 네트워크는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코플랜드 1: (전제 1)에서 (결론 1)이 따라나오지 않는다. 네트워크의 개개인이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네트워크 전체가 이해하지 못한다는 보장은 없다. (처칠랜드 부부 1과 같은 반론)

 

코플랜드 2: (결론 1)에서 (결론 2)가 항상 따라 나오지는 않는다. (결론 1)에서 (결론 2)를 추론하는 것은 Searle's Beastie와 동일한 형식이기 때문이다. , 중국어를 이해하는 계산 기계가 있더라도, 그 시뮬레이션인 중국어 체육관은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코플랜드 3: 시뮬레이션이 정밀한(exact) 경우 (결론 1), (결론 2)는 거짓일 수 있다. , 중국어를 이해하는 계산 기계가 있다면, 그에 대한 정밀한 시뮬레이션은 중국어를 이해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과정에 대한 정밀한 시뮬레이션은 그 자체로 그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밀한 시뮬레이션의 경우 Searle's Beastie는 타당하다.) 중국어 체육관이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중국어 체육관이 정밀하지 못한 시뮬레이션이기 때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