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ay, K. B. (2007). A selectionist explanation for the success and failures of science. Erkenntnis, 67(1), 81-89.
1. 도입
■ 과학의 성공에 대한 다윈주의적 설명
ㅇ 다윈주의적 설명: 현재의 과학 이론이 성공적인 것은 성공적이지 않은 이론들이 사라졌기 때문.
ㅇ 다윈주의적 설명이 과소평가된 한 가지 이유: 이론의 어떤 요소로 이론의 성공을 설명해야 하는지 의견 불일치가 있었기 때문
ㅇ 다윈주의적 설명의 두 가지 장점
ㅡ 한때 성공적인 이론이 기각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음. 즉, 이론의 성공과 실패를 모두 설명할 수 있음.
ㅡ 때때로 두 경쟁 이론이 동등하게 성공적인 이유도 설명할 수 있음.
2. 실재론자들의 설명에 대한 반 프라센의 평가
■ 반 프라센이 과학의 성공에 대해 설명할 때 정확히 무엇을 의도하는가
ㅇ 브라운: 과학의 성공에 대해서 세 가지가 설명되어야 함.
ㅡ 알려진 다양한 현상들을 조직화하고 통합하는 능력
ㅡ 과거 이론보다 현재 이론이 위의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점
ㅡ 이론의 새로운 예측들(novel predictions; > 과거의 이론으로 할 수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예측들)
ㅇ 반 프라센이 설명하려는 것은 이 중 세 번째 것. '왜 현재의 이론들이 관찰 가능한 사건들에 대해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는가'
ㅡ 이것은 한 특정한 이론에 적용되는 질문이 아니기 때문에, 반 프라센은 '과학의 성공에 대한 전반적 질문'이라고 부름.
■ 이론의 예측력에 대한 질문들
ㅇ 라우든: 왜 특정 형태의 지식이 다른 지식들보다 더 확실한 예측을 내놓는가
ㅡ 실재론자와 상대주의자 사이의 논의에서 나온 것이지, 실재론자와 도구주의자 사이에서 나온 질문은 아님. 반 프라센과 관련된 것은 후자.
ㅇ 반 프라센: 왜 우리가 성공적인 이론들을 가지고 있는가
ㅇ 어떤 사람들: 모든 성공적인 이론에 공통적인 특성은 무엇인가
ㅡ 이 질문이 해결되면 반 프라센의 질문도 해결되겠지만, 이 질문은 애초에 실재론 쪽에 치우쳐 있음.
ㅡ 반 프라센의 질문은 이론들 간의 어떤 공통 특성도 전제하지 않은 것.
■ 궁극 논증(혹은 기적 불가 논증)
ㅇ 과학이 성공적인데도 실재의 구조를 반영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기적일 것이다.
ㅡ 전제1: 현재의 과학 이론들은 많은 정확한 예측들을 내놓는다. 즉, 과학은 성공적이다.
ㅡ 전제2: 과학의 성공은 이론들이 실재의 구조를 잘 반영하기 때문이거나, 기적이다.
ㅡ 전제3: 과학의 성공은 기적이 아니다.
ㅡ 결론: 과학의 성공은 이론들이 실재의 구조를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ㅇ 실재론을 지지하는 논증
ㅇ 반 프라센의 문제 제기: 전제2는 틀렸음
ㅡ 과학의 성공은 이론들이 실재의 구조를 잘 반영하기 때문이 아니라, 성공적인 이론들만 살아남았기 때문.
ㄴ 정확한 예측을 내놓지 못하는 이론들은 과학자들에게 채택되지 못해 도태됨.
ㅡ 과학의 성공에 대해 설명할 때 우리가 관찰 불가능한 실재의 구조에 의존하지 말아야 함.
■ 머스그레이브의 궁극 논증 재정식화
ㅇ과학적 실재론이 어떤 반실재론보다 과학의 예측적 성공을 더 잘 설명하므로, 과학적 실재론을 받아들이는 것이 합리적.
ㅡ 저자의 문제 제기: 반 프라센의 다윈주의적 설명보다 실재론의 설명이 과학의 예측적 성공을 더 잘 설명하는가? - 3절에서 논의
3. 다윈주의적 설명의 두 장점
■ 다윈주의적 설명의 첫 번째 장점: 한때 성공적이었던 이론이 현재는 제거된 이유도 설명할 수 있음.
ㅇ실재론자는 왜 한때 실재의 구조를 잘 반영했던 이론이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고 여겨지는지 설명하기 힘듦.
ㅡ 실재론자의 가능한 대응1: 당연히 이론들은 틀릴 수도 있음.
ㄴ 저자의 반론: 이러한 설명은 틀린 이론이 왜 과거에 성공적인 예측을 내놓았는지 설명 못 함.
ㅡ 실재론자의 가능한 대응2: 현재로 올 수록 이론이 점점 참에 가까워짐. 즉, 과거에 성공적인 이론이 폐기된 이유는 실재의 구조를 더 잘 반영하는 이론이 나왔기 때문.
ㄴ 저자의 반론: 실재를 잘못 반영하는 이론이 성공적인 예측을 내놓는 경우가 있음.
ㄴ 다윈주의적 설명: 한 분야가 발전하면서, 이론들은 과거에는 설명할 수 있으리라고 예상되지 않았던 현상까지 설명하게 됨. 이러면서 새로운 유형의 현상을 마주치고, 여기서 성공하지 못한 이론은 폐기됨.
예: 갈릴레오가 목성의 위성들을 발견한 것은 지동설과 천동설 모두에게 새로운 현상이었고, 이를 설명할 수 있던 지동설은 살아남고 설명할 수 없던 천동설은 폐기됨.
■ 다윈주의적 설명의 두 번째 장점: 때때로 두 경쟁 이론이 동등하게 성공적인 이유도 설명할 수 있음.
ㅇ 이론의 예측적 성공은 그것이 실재를 참되게 반영하는지 여부에 달린 것이 아님.
ㅡ 잘못된 이론, 잘못된 부분도 예측적 성공에 기여할 수 있음.
예: 지동설과 천동설은 과거에 동일한 수준의 예측력을 가졌음.
ㅡ 실재론자는 잘못된 이론이 왜 정확한 예측을 내놓는지는 설명 불가능함
ㅇ 다윈주의적 설명: 관찰 가능한 현상에 대해 동등하게 정확한 설명을 하는 이론들은 둘 다 과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질 것임.
4. 결론
■ 반 프라센의 다윈주의적 설명만이 과거에 성공적인 이론들이 폐기된 이유와, 두 경쟁 이론의 동등한 성공을 설명할 수 있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